최근 뉴스 기사에서 곱버스는 코스피가 박스권을 유지하기만 해도 손실률이 엄청나다는 기사를 읽었다.
왜 그런 것인지 알아보았다.
아래 링크는 해당 기사
https://news.v.daum.net/v/20210319060142070?x_trkm=t
"1년 수익률 -80%"..잠 못 드는 '곱버스' 개미들
코스피지수가 등락을 거듭하면서 변동성 장세가 이어지자 개미(개인 투자자)들이 눈물을 머금고 ‘곱버스’ 손절매에 나서고 있다. 곱버스는 지수가 등락을 거듭할수록 손실을 보는 구조인 탓
news.v.daum.net
곱버스란?
- 2배를 의미하는 '곱하기'와 '인버스'를 합쳐서 일컫는 말이다.
- 주가지수(예를 들어 코스피200)가 떨어질 때 수익을 내는 '인버스' 상품 중에서 특히 내림 폭의 2배로 수익을 내는 상품을 말한다.
올해 1월 코스피 지수가 3,000을 돌파하자 올해에는 하락장이 우세할 것이라는 판단을 해 곱버스에 투자하는 사람이 많았다. 그런데 최근 국내 증시가 박스권을 유지하자 이 곱버스 상품(KODEX 200선물인버스2X 기준)의 최근 3개월 수익률이 -28%에 달했다. 박스권을 유지했음에도 이렇게 큰 손실이 난 것은 바로 지수 하락의 2배만큼 이익을 낸다는 상품 자체의 특성 때문이다.
실제로 계산을 해보면 쉽게 알 수 있다. 예를 들어 곱버스 기초지수가 1,000으로 시작해 900 → 1,000 → 900 →1,000 → 900 → 1,000 이렇게 6일이 지났다고 가정해보자. 단순히 6일간의 누적 수익률을 계산하면 1,000으로 시작해 1,000으로 끝났으니 0%이지만, 곱버스의 수익률은 무려 -18.7%가 된다.
1일차에 기초지수 1000이 900이 되었으므로 지수 변동률은 -10%이지만 곱버스 수익률은 +20%가 된다. 이에 따라 1,000이던 곱버스의 가격은 1,200이 된다. (곱버스의 최초 가격을 1,000으로 가정)
2일차에 기초지수 900이 1,000이 되었으므로 지수 변동률은 +11.11%이지만 곱버스의 수익률은 -22.22%가 된다. 1,200이던 곱버스의 가격은 933이 된다.
3일차에 기초지수 1,000이 900이 되었으므로 지수 변동률은 -10%이지만 곱버스의 수익률은 +20%가 된다. 933원이던 곱버스의 가격이 1,120이 된다.
4일차에 기초지수 900이 1,000이 되었으므로 지수 변동률은 +11.11%이지만 곱버스의 수익률은 -22.22%가 된다. 1,120이던 곱버스의 가격은 871이 된다.
5,6일도 반복...
이처럼 곱버스는 곱버스의 상품 가격이 오르더라도 하락할 때 오른 것에 비해 훨씬 더 많이 하락하게 된다.
위와 같은 점을 고려한다면 곱버스 투자는 하락장이 명백할 때 짧게 투자하고 빠지는 것이 알맞다는 사실이 알 수 있다. 하지만 어디 투자라는 게 정답을 안다고 다 그렇게 할 수 있는 것인가. 곱버스는 최대한 조심하는 게 더 '정답'이지 않을까?
2021.03.09 - [경제 금융] - 최근 미국 채권 금리 인상의 원인과 영향
최근 미국 채권 금리 인상의 원인과 영향
오늘(20년 3월 8일) 코스피 지수가 3,000이 깨진 2,996포인트로 마감됐다. 최근 몇 달 새 국내 증시는 박스권을 계속 맴돌고 있고, 미국 증시 나스닥도 보름새 300포인트가 하락했다. 특히, 600달러가
sound-of-waves.tistory.com
2021.03.02 - [경제 금융] - CBDC란? (중앙은행 디지털화폐)
CBDC란? (중앙은행 디지털화폐)
최근 엄청난 급등락을 보이는 비트코인을 보며 여전히 가상화폐, 암호화폐의 실효성에 대해 의구심이 드는 것은 사실이다. 전형적인 투기장이 되어버린 코인시장의 다른 한편에는 비슷한 이
sound-of-waves.tistory.com
2021.02.07 - [경제 금융] - 테이퍼링(Tapering)이란?
테이퍼링(Tapering)이란?
최근 바이든 행정부의 재정정책에 관한 보고서를 읽던 중 테이퍼링(tapering)이라는 용어를 보았다. 어렴풋이 무슨 뜻인지는 알겠는데 정확한 의미를 몰랐다. 그래서 아래에 그 의미를 정리해 보
sound-of-waves.tistory.com
'경제 금융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서킷브레이커, 사이드카 등 각종 제도 정리 (0) | 2021.04.01 |
---|---|
투자와 투기의 차이 (0) | 2021.03.28 |
윔블던 효과란? (0) | 2021.03.18 |
인플레이션이 문제가 되는 이유 (0) | 2021.03.12 |
최근 미국 채권 금리 인상의 원인과 영향 (0) | 2021.03.09 |
댓글